한국게슈탈트모래놀이치료협회

한국게슈탈트모래놀이치료협회 자료실입니다.

게슈탈트 모래놀이치료

자료실  게슈탈트 모래놀이치료


게슈탈트 상담

연구소 관리자
2021-06-04

게슈탈트 상담은 독일계 유대인이었던 프릿츠 퍼얼스(Fritz Perls)가 1950년대에 개발한 심리치료 기법으로서 우리의 정서와 욕구를 중시하는 치료입니다. 퍼얼스는 원래 정신분석가였는데 그는 정신분석치료의 지나친 주지주의적 경향을 비판하고 나아가 개체와 환경 간의 유기적 통합성을 강조하면서 실존철학적 배경에서 새롭게 게슈탈트 치료를 창안하였습니다.               

                 

게슈탈트 상담은 1960년대에 와서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심리치료 기법의 하나로 성장하였고, 1980년대에 와서는 과거의 다소 개인주의적이고 기법사용에 치우쳤던 경향을 반성하면서 보다 관계적이고 대화적인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현재 게슈탈트 상담 미국,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태리, 스위스, 오스트리아, 노르웨이, 스웨덴,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브라질, 아르헨티나, 멕시코, 러시아, 체코, 폴랜드, 한국, 일본 등 전 세계적으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게슈탈트 상담의 주요 이론적 배경으로는 현상학적 입장(phenomenology), 장이론(field theory), 대화관계 (I-thou relation) 등을 들 수 있으며, 방법론적 특징으로는 지금 여기의 현상적 경험, 알아차림과 접촉, 신체현상과 비언어적 표현에 대한 주목, 과정적 접근(process approach), 빈 의자 기법, 실험 등을 들 수 있습니다.


게슈탈트 상담은 아동, 청소년, 성인을 대상으로 개인상담, 부부상담, 가족상담, 집단상담, 예술치료, 놀이치료 등의 다양한 형태로 행해지고 있으며, 심리학자, 정신과의사, 교육학자, 정신간호사, 정신사회복지사 그리고 목회자, 교사 등에 의해 실시되고 있습니다.


현재 게슈탈트 상담 관련 전문학술지는 영어로 된 것으로는 The Gestalt Journal, International Gestalt Journal, Gestalt Review, British Gestalt Journal, Australian Gestalt Journal, Topics in Gestalt Therapy 등이 있으며, 다수의 독일어, 프랑스어로 된 게슈탈트 저널들이 있습니다.


* 자각연습 (awareness)

자신의 욕구나 감정, 신체상태, 환경의 변화 등을 알아차리는 연습을 합니다. 이 연습은 우리가 미처 모르고 지나쳤던 것들, 억압했던 것들을 다시 찾아내어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며, 삶을 새롭게 체험하게 해줍니다.


* 자기표현연습 (self expression)

자신의 욕구나 감정, 신체상태, 환경의 변화 등을 알아차리는 연습을 합니다. 이 연습은 우리가 미처 모르고 지나쳤던 것들, 억압했던 것들을 다시 찾아내어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며, 삶을 새롭게 체험하게 해줍니다.


* 공감연습 (empathy)

타인의 이야기를 듣고 그 사람의 감정을 공감하고 반응해주는 연습을 통해 타인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동시에 상호 친밀한 관계형성을 도와 줌으로써 상호교류를 촉진시킵니다.


* 이야기하기 (story telling)

각자 자신의 살아온 이야기를 하면서 자신의 삶을 재조명해보고 또한 타인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그들의 삶에 동참해 봄으로써 서로 친밀해 지는 시간을 갖습니다.


* 대화나누기 (dialog)

일상적 대화, 특정한 주제에 대한 대화, 서로의 삶에 대한 대화, 지금 여기에서의 서로의 관계에 대한 대화 등 다양한 대화의 형태를 연습해 보고 대화를 통한 참된 관계형성법을 배웁니다.


* 미술치료 (art therapy)

음악을 들으며 자유롭게 떠오르는 이미지를 스케치북에 그리거나 찰흙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형상화 해보고 이를 통하여 각자의 내면세계를 탐색해 봅니다. 또한 집단원들과 함께 공동으로 그림을 그리거나 작품을 만들면서 상호 대인관계를 탐색하고 실험해 봅니다.


* 음악치료 (music therapy)

음악을 들으며 심상을 떠올려 자신의 내면세계를 탐색하거나 혹은 춤을 추거나 신체표현을 함으로써 자신의 창조적인 행동 방식을 실험하고 발견해 보는 것입니다. 집단이 함께 함으로써 더욱 흥미롭고 신나는 작업이 될 수 있습니다.


* 연극치료 (drama therapy)

집단원들이 조를 나누어 함께 즉흥극을 만들고 연출해 보는 것인데 이를 통해 내면세계를 탐색해 볼 수 있고 또한 새로운 행동 가능성을 실험해 볼 수 있습니다.


* 이미지 영상 (guided imagery)

각자의 마음에 떠오르는 심상을 활용하여 대화를 나누거나 집단이 함께 상호작용하는 작업입니다. 이 작업을 통하여 참가자들은 풍부한 상상력을 기르는 동시에 창조적인 에너지를 개발하게 됩니다.


※ 출처: 한국게슈탈트상담심리학회

한국게슈탈트모래놀이치료협회

KOREA GESTALT SANDPLAY ASSOCIATION


한국게슈탈트모래놀이치료협회 

사업자등록번호 117-35-00294

☎  051-205-3680/ 010-3152-3680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대로394-10. 3층

ⓒ  Korean Gestalt Sandplay Therapy Association. 
All rights reserved.